사례개념화를 위해 상담자가 유의해서 살펴보아야할 내용들

 

내담자가 진술하는 내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거나 공통되는 주제나 패턴이 있는지 찾아본다.

예를 들어, 어떤 내담자가 친구와 가족 그리고 학교 선생님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데, 공통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다른 사람들이 나를 무시한다.”는 느낌이다. 그리고 이런 느낌을 근거로 내담자는 대인관계에서 쉽게 상처받고 수동-공격적 태도를 취하는 패턴을 보인다. 이런 공통 주제와 행동패턴의 파악은 내담자 문제의 성격과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세우는데 유용한 단서를 제공한다.

 

내담자의 문제행동이나 증상의 역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기능적 측면을 파악한다.

내담자 문제행동이나 증상에는 역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기능적 측면이 내포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기능적 측면이란 문제행동이나 증상을 통해 내담자가 추구하는 혹은 부수적으로 얻어지는 효과로 문제행동을 강화하거나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예를 들어, 약물중독의 경우, 역기능적 측면은 정신적, 신체적 기능의 훼손과 일상생활에서의 제반 부적응 문제이다. 하지만 기능적 측면은 약물을 통해 일시적으로나마 고민하거나 문제, 내적 스트레스를 잊을 수 있거나 혹은 자신감이나 쾌감을 경험하는 것일 수 있다, 문제행동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탐색은 문제행동의 강화요인으로 작용하는 내담자의 동기와 욕구를 파악하므로 사례개념화와 문제해결책 모색에 필수적인 부분이다.

 

내담자 문제와 관련하여 내담자의 개인적 특성 뿐만 아니라 가족역동, 주변사람들과의 관계 특성, 환경적 특성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정보를 수집, 탐색하고 활용한다.

흔희 사례개념화에서 내담자의 심리내적 특성에만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정확하고 유용한 사례개념화를 위해서는 문제의 발생과 지속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측면, 관계에서의 상호작용적 측면, 환경적 측면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평가하여 통합적으로 조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례개념화를 위해 상담자는 상담이론과 정신병리이론 및 심리발달이론 등을 활용해 앞서 제시한 질문이나 살펴볼 내용을 중심으로 가설을 생각해 본다. 이때 머릿속에서 가설을 세우는데 그치지 말고, 직접 글로 써보면 생각을 명료화하는데 유익하다. 가설을 서술할 때 심리검사 결과와 같은 객관적 자료나 내담자의 진술 가운데 상담자의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판단되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발췌해서 근거자료로 제시하는 것도 가설의 타당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수립된 가설의 검증을 위해 상담자는 질문이나 다른 탐색기법을 통해 내담자로부터 관련정보를 얻어내거나, 혹은 적절한 시기에 상담자의 가설을 해석의 형태로 제시해서 내담자 반응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참고>

Kendjelic(1998), 이윤주(2001), 김진숙(2012) 사례개념화 요소 목록

 

유목명

사례개념화 항목

. 기술적 정보

1. 내담자 인적사항

2. 내방경위

3. 지금 상담 온 계기

4. 내담자 호소문제 / 증상 / 원함

5. 현재 문제상태 / 증상의 내력

6. 과거병력(정신과적 진단, 의학적 병력) 및 이전상담/치료경험

7. 내담자의 발달적 역사(가족관계 포함)

8. 첫인상 및 행동관찰

9. 객관적 정보(심리검사결과/현재 정신과 진단)

.

A. 문제관련

상황적요인

10. 문제의 기원

11. 현재 스트레스원이나 문제 촉발요인

B. 문제관련 개인적요인

12. 자기에 대한 개념

13. 타인에 대한 개념 및 대인관계 패턴

14. 인지적 패턴 및 인지내용 자기와 타인에 대한 개념 제외

15. 정서적 패턴 및 주요정서

16. 기술의 부족 및 학업 결손

17. 기타 취약점 및 문제에 기여하는 성격적 특성

18. 유전적/생물학적 요인 및 신체적 특성

19. 대처전략(방거기제 포함)

. 상담의 긍정적 지표

20. 내담자의 강점 및 자원

21. 주변의지지 및 지원

22. 상담 동기수준 및 상담태도

. 상담계획 및 목표

23. 상담계획

24. 상담목표

25. 상담전략

26. 상담목표 달성에 부정적인 요소

 

'상담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심리에서의 분석심리학  (0) 2019.06.06
상담심리에서의 개인심리학  (0) 2019.06.06
사례개념화란? -1-  (0) 2019.06.06
상담과정 모델과 상담자의 반응기술  (0) 2019.05.21
상담의 기본원리  (0) 2019.05.21

개념 정의와 기능

 

LoganbilStoltenberg(1983), Amundson(1988)

상담자가 내담자의 심리내적인 역동의 인지적행동적정서적대인관계적 측면을 종합(synthesis)해서, 내담자의 현재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활동이다.

 

Mayfield(1999)

상담자는 내담자의 증상, 가족 배경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내담자에게 대한 모형을 세우는 방향으로 이들 정보를 조직하며 개념화 과정은 정보처리과정과 유사하다.

, 내담자와 내담자문제의 여러 측면을 이론적이며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조직한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이윤주(2001b)

내담자의 심리적대인 관계적행동적 문제와 관련된 원인 및 촉발유지요인들 그리고 내담자가 가진 강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 이해에 근거하여 문제해결의 방향과 전력, 기법을 계획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사례개념화는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내담자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요인들을 가설적으로 검토하여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담전략들을 수립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명우(2004)

상담자의 상담이론과 상담경험에 근거하여 내담자의 문제에 관한 다양한 단서나 정보를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담자 문제의 원인을 가설적으로 설명하여 내담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와 전략을 구상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서경희(2008)

내담자 문제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내담자의 문제가 발생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요인들을 가설적으로 검토하여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담전략들을 수립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사례개념화를 정의한 바 있다.

 

김진숙(2012)

여러 가지 정보 수집을 통해 얻어진 정보들을 여러 가지 이론적 방법을 통해 통합하여 내담자 이해와 문제해결을 위해 활용 할 줄 아는 기술을 사례개념화(case conceptualization) or 사례공식화(case formulation) 라고 한다.

 

구성요소

 

사례개념화는 이론적 배경에 따라 세부적인 구성요소에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런 구성들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 즉 가설이 기초한 기술적 정보와 가설로부터 나오는 처방적 권고로 나눌 수 있다.

기술적 요소는 내담자의 생활과 현재 문제에 대한 중요한 사실로 구성된다. 사례개념화에 어떤 사실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상담자가 채택하는 이론이나 상담자의 지각에 영향을 받지만, 기술적요소란 기본적으로 사실에 의미를 부여하는 해석이나 추론과는 거리가 멀다. 기술적 정보는 현재의 문제와 그 문제의 역사, 문제와 관련된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 이전에 상담 받은 경험, 개인의 발달적사화적 역사, 의학 관련 역사, 심리검사 결과 등을 포함한다

처방적요소는 처방 이전의 기술과 가설에서 도출되며, 상담 목표와 계획을 제안하는 것이다. 처방적 요소에는 권장할 만한 상담유형, 상담 회기의 빈도와 상담의 전체 기간, 상담목표, 목표 달성에 장애가 될 만한 요인, 예후, 약물처방이나 집단상담, 혹은 가족상담 등 병행할 만한 개입에 필요한 의뢰 등이 포함된다.

 

Sperry(2005)의 사례개념화의 세 가지 요소

진단적 공식화 (“What”: What happened?)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나 겪어 온 어려움의 성격과 심각한 정도에 대한 진술로서, 기본적으로 기술적이고 현상학적이다. 상담자의 해석이나 설명이 부가되지 않는다.

 

임상적 공식화 (“Why” : Why did it happen?)

내담자의 증상이나 문제, 지금까지 보여온 행동패턴에 대해 좀더 설명적이고,종단적인 진술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담자가 채택한 이론에 따라 다르지만, 내담자의 패턴, 즉 스트레스 상황에서 내담자가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고 대처하는, 예측가능한 양식에 대해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내담자의 내적 역동과 대인관계적 역동 그리고 대담자가 속한 체제의 역동에 대해 각각 서술하고 이를 통합한다. 임상적 공식화는 사례개념화의 진단적 측면과 치료적 측면을 연결하는 요소로서 사례개념화의 핵심을 이룬다.

 

치료 공식화 (“How” : How can it be changed?)

진단적 공식화와 임상적 공식화에 근거하여 도출되며, 치료적 개입을 안내하는 청사진 역할을 한다. 치료 공식화는 치료 목표, 치료계획, 구체적인 개입전략, 치료과정과 성과에 대한 예측을 포함한다.

 

방법 및 절차

 

사례개념화의 목적은 내담자 문제의 성격와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상담목표와 개입전략 수립에 필요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따라서 사례개념화는 내담자의 호소문제와 증상을 열거하거나 피상적 설명을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야 한다.

 

담당자가 파악한 내담자 문제의 성격은 무엇인가?

내담자 문제의 성격과 문제의 핵심이 무엇인지 심리적 차원에서 생각해본다. 상담자가 파악한 내담자 문제의 성격은 담자가 호소하는 문제나 증상을 단순히 열거하는 수준을 넘어서 내담자 문제의 성격과 문제의 핵심을 심리적인 차원에 좀 더 근원적으로 조명하여야 한다.

 

문제가 생기게 된 경로나 문제의 기원은 무엇인가?

문제가 발생하게 된 과정과 문제의 기원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생각해본다. 내담자의 가족 배경과 발달사에서 문제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이 있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가? 문제를 촉발한 특정한 사건이나 계기가 있었다면 무엇인가? 왜 그 사건이 내담자에게 문제가 되었는가? 문제의 발생경로나 발달사적 배경에 대한 탐색과 개념화는 내담자 문제를 개인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역사적이고 상황적인 맥락에서 조명할 수 있게 한다.

 

내담자 문제를 지속시키는 내적 역동은 무엇인가?

내담자 문제의 원인을 개념화하면서 문제를 유발하거나 지속시키는 내적 요인과 외적요인도 함께 살펴본다. 먼저 내적 요인으로 현재 내담자 문제를 촉발하거나 지속시키는 역기능적 패턴을 파악하고 기술한다. 이때 역기능적 패턴을 사고패턴, 감정양식, 행동특성, 대인관계패턴, 방어기제 등으로 세분화시켜 개념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내담자 문제의 원인에 대한 분석은 현재 내담자 문제를 유발하거나 지속시키는 역기능적 패턴에 대한 분석으로서, 문제의 발생경로나 발달사적 이해와 연관이 있지만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다.

 

내담자 문제를 지속시키는 외적 역동은 무엇인가?

내담자의 문제행동이나 증상을 강화하거나 지속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가족역동이나 주위사람들의 반응, 혹은 물리적 환경이 있다면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 기술한다. 문제의 원인분석에 있어서 내담자의 개인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내담자의 문제행동이나 증상을 촉발하거나 강화하는데 영향을 주는지 파악해본다.

 

문제의 해결이나 극복을 위해 내담자가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인가?

문제를 해결하거나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담자가 길러야 할 특정 기술이나 능력은 무엇인가? 문제해결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상담자-내담자 관계의 특성은 무엇인가?

 

'상담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심리에서의 개인심리학  (0) 2019.06.06
사례개념화란? -2-  (0) 2019.06.06
상담과정 모델과 상담자의 반응기술  (0) 2019.05.21
상담의 기본원리  (0) 2019.05.21
상담의 정의  (0) 2019.05.21

1938년 하버드 대학 임상심리실연구자들과 헨리 뮤레이가 고안해낸 검사.

이론적으로 3세이상 가능하고 3~10세는 CAT,그 이상은 TAT를 사용해서 검사,노년층은SAT로 검사

TAT는 개인의 성격구조내부를 깊이있게 은밀한 측면까지 이해할 수 있다. 세부적인 성격특성이나 태도뿐아니라 전반적인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정서적문제동기문제대인관계의 특성일반지능언어유창성독창성문제해결능력등을 알아볼 수 있다.

TAT로 알아볼 수 있는 영역

개인의 인지유형, 상상력, 가족역동, 정신내부의 적응, 정서반응성,일반지능, 성적적응, 창의성, 감정의 풍부성, 문제해결기술, 언어유창성을 평가할 수도 있다.

 

검사의 목적 및 가정

피검자의 성격구성요소중에 핵심추동,정서,정감,콤플렉스, 갈등의 내용을 들어내게 해준다고 기술하였다.

TAT의 가장큰 장점은 의식선상에서는 인정할 수도 인정하기도 어려운 마음속 깊이 깔린 억제된 성향을 노출기킨 다는 것이다.

 

TAT의 검사기본가정

-모호한 그림 혹은 비구조화된 자극에 의미를 부여하도록 질문받을 때 개인은 자신의 욕구,소망,갈등을 투사 혹은 반영하게 된다

-개인의 심리적 욕구의 강도는 주제 통각기법 반응에서 상징적 표현과 연관이 있다.

-투사검사에서 행동과 반응은 환경속에서 개인의 행동과 비례한다.

 

검사의 실시

20장을 기호에 맞춰서 실시하고 50분실시10분휴식을 반복

하루기간을 주며 1장당 반응시간5분을 제시한다

 

카드뒷면의 기호

M-남자성인 B-소년

F-여자성인 G-소녀

보통 8장에서 12장의 카드로 검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

만일 우울증이나 자살충동가능성이 있을 경우 3BM,13B,14번 카드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TAT를 법정참고자료로 사용할때는 20장을 전부 사용하되 2회에 걸쳐서 평가해야한다.

지시문의 방식은 여러방식이 있지만 꼭 포함되어야하는 이야기구성이 있다. (현재상태-인물에 대한 느낌과 생각-선행사건-결과)

만일 반응내용이 점점 짧아지거나 4가지 필수구성요소를 빠트린 경우 지시문의 사항을 재차 언급하고 더욱 풍요롭게 이야기를 구성할수있도록 격려한다.

각 카드에 대해서 카드제시에서부터 최초 발성까지 시간을 기록한다. 주저함이나 멈칫거림이 길어지는 것이 심리파악에 단서가 되는데 대개 갈등이나 불안이 함축된 그림에 대해 내적인 갈등을 반영한다.

반응을 기록할 때는 이야기 구성중의 억양의 변화나 감탄사정도까지 기록해야한다. 기록은 이야기내용을 촉진시킬뿐아니라 그림에대한 특정반응도 단서가 되므로!

녹음기를사용할때는 사전에 내담자의 서면동의를 받아야하며 상대적으로 행동적 단서를 더 잘 기록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

만일 피험자가 선행사건이나 결과구성을 생략하면 검사자는 부가적 정보를 요구한다. 그러나 이야기 구성에대해 명료화를 요구하거나 확대해석할 경우는 검사자의 반응 성향으로 유도해서는 안된다.

더 상세한 재질문은 일차로 전체검사를 마치고 마지막에 실시할 수도 있고,각 이야기 구성후에도 제기할수있지만 재질문은 전체검사가 끝나고 마지막에 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재질문을 강압적으로 하게되면 방어벽을 쌓고 위축하게 만들기 때문에 하면 안된다.

질문과 재질문의 일차목적은 내담자의 공상을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것임을 명시해야 한다.

검사해석

TAT는 반응결과를 2가지 기준으로 평가하고 2시간까지 소요될 수있다. 양적기준으로 강도,기간,욕구의 빈도,를 평정하는 척도를 사용한다.

질적기준은 이야기의 주제를 임상적으로 판단내리게 된다.

평가과정은 각 카드에대해 10가지 준거를 적용해서 분석

10가지 스토리는 각각 이야기번호1,2라고 번호를 붙여서 10가지 분석내용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마지막으로는 요약하고 결론내린다.

요약에 답할 내용들

1,2,3 : 무의식 구조와 내담자의 충동

4 : 세상에 대한 이해

5 : 타인과의 관계

6 : 중요갈등

7 : 불안의 근원

8 : 주로 사용하는 방어

9 : 초자아 구조

10 : 자아의 통합과 자아강도

평가기준

 개인의 자아강도를 측정하기위한 열가지 기준이 있는데 이것도 TAT프로토콜의 실질적인 해석시에 자아강도의 평가에 참고로 사용된다.

1, 핵심주제

: 이야기의 핵심요소를 재진술한다./추론의 정도에 따라서

핵심주제는 다양하게 나타난다/평가자는 이야기 구성을

좀더 해석적으로 더욱 진단적으로 활용한다./초심자는 가능한 내담자의 진술에 초점을 두는 것이 좋다/핵심내용만 추출해야한다.

2. 주인공

: 이야기속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사람/주인공에 대한 감정,믿음,행동에 대한 정보수집/내담자는 주인공과 동일시하게 될것으로 가정한다/주인공의 묘사가 분명치 않은 경우,내담자와 가장 가까운 특성,즉 연령,성 등을 참조로 유추한다/간혹 주인공이 두명이상 나올수도있다./주인공의 능력,흥미,특성,적합성,신체이미지를 평가함./적합성이란 주인공이 과제를 완성하는 것을 말함. 과제완성은 사회적으로,도덕적으로 지적으로 수용되는 방식 으로 실천하는 것을 의미/적합성 정도는 주인공 즉 내담자의 자아강도와 직접관련됨/신체이미지는 신체나 신체적 표현을 설명할때에 스타일이나 질을 의미함/ 신체에 대한 설명은 직접적일수도있고 그림1의 바이올린을 이용한 상징을 나타낼 수도 있다.

3. 핵심욕구와 주인공의 충동

: 내담자의 가장 근본적인 욕구는 애정,공격,성취욕구다

욕구들은 내담자가 만들어낸 공상이고 잠복된 욕구도있고, 실제로 의식되는 욕구도 있다./극단적인 배려의 욕구는 타인으로부터 배려받기를 바라는 욕구이다/공격적 표현을 극단적으로 자제하는 것도 무의식에 공격충동을 반영하는 것/인물,물건,주변상황이 생략되거나 포함되는 것에 주목/그림8BM에서 총이 생략되고 3BM에서 총/열쇠가 생략되고 13MF에서 성적언급이 생략되는지를 주목/상대적으로 무기,음식,돈에 대한 언급이 많을수록 공격성,배려,물질적 성공의 욕구가 높다./이야기 구성에서 중요한 물건의 생략은 그 물건과 연관된 불안,억압,부정을 뜻하는 경향이 있다.

4. 환경에 대한 개념

: 환경과 연관된 상황을 이해하려면 뮤레이가 정리한 압력항목을 살펴보아야한다.(결핍압력, 공허,이질감,

환경거부에 대한 기술, 강압과 자제에 대한 압력, 적대감, 공격적 환경에 대한 기술, 위험,질병,사망에 대한 압력, 사랑에 대한 압력, 기타압력들

5. 나타난 주인공 모습

: TAT의 주요 특성중 한가지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통각적 왜곡을 보인다는 것과 사회적 관계에 대한 역동적 요인을 밝힐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해석은 부모,동료,자기보다 나이 어린 사람에 대한 그림속에 주인공의 태도와 행동을 평가함으로써 이해 될 수 있다.

6. 중요한 갈등

주인공을 묘사하는 갈등에서 나타나는 주요갈등은 내담자의

현재 느낌과 행동을 검토하고, 그것이 어느정도 일치하는가

를 평가하면서 파악된다.

7. 불안의 근원

내담자는 주인공의 불안에 대한 근원과 강도를 평가해야 한다. 불안유목으로는 신체적 위해/처벌,인정받지못함,사랑

의 결핍이나 상실,질병또는 부상,낙담함,결핍,힘과시 등등

8. 갈등과 공포에 대한 주요방어

평가자는 불안과 갈등에 대한 방어의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한다. 스토리상에 한 방어기제가 여러번 나오면 과도한 방어유형이지만, 여러방어를 사용하는 것은 사고다양성과 융통성을 뜻한다.

9. 범죄나 비행에 대한 처벌 내용에 따른 초자아의 적합성

처벌받아야하는 행동에 대한 처벌수준의 적합성,강도,일관성 결과의 지연등에 대해 평가한다.

강한 처벌내용을 이야기하면 초자아의 엄격성을 암시하고 처벌의 강도가 너무 약하면 초자아의 미발달을 뜻한다.

10. 자아의 통합

자아통합의 정도는 주인공이 상이한 갈등을 다루는 질 혹은 수준에 따라 평가한다. 주인공이 대인관계기술을 평가할 때 쉽게 엿볼 수 있다.

 

그림검사종류의 문제점은 내적일치성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가지 검사만으로 피검자의 성격특성을 파악할 수없다 그러므로 구조화된 임상면접에 한 유형으로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투사검사의 문제점

개인내적인 공상과 외현적 행동간에 관련된 일치성문제 =공상이 외현적 행동으로 연결되는가 문제

-TAT는 그림구성이 너무 부정적이고 표출될 수 있는 내용이 활동적이지 못한 이야기 구성이 많이 차지한다.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고기 가족화  (0) 2019.06.19
자폐증 체크리스트 (비 전문가용)  (0) 2019.06.10
로르샤하 (로르샤) 검사  (1) 2019.06.02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0) 2019.05.21
BGT (벤더 게슈탈트 검사)  (0) 2019.05.21

10개의 그림을 보여주고 그림어떻게 보이는지를 말하게 하는 검사

검사목적

내담자의 성격구조를 평가하기 위함.

영역

내담자가 초점을 둔 그림의 영역

반응결정인

반응을 만드는 과정에 활용된 그림의 속성

내용

반응의 일반적인 유목

1차 검사(자유연상 단계): 그림의 연관반응포함 - "어떤생각이 나니"

2차 검사(질문단계): 영역, 내용, 반응결정인에 초점 - "어디가 그렇게 보였니?"

채점 영역과 기호

영역(표기,의미) : W(전체), D(평범한 부분), Dd(비평범한 부분), S(공간), DQ(발달질)

사고영역 : M-, M, W, Sum6, FQ가 없는M, a:p, : ,

반응결정인: F(형태) M(사람움직임) FM(동물움직임) ,m(무생물) C(유채색) C’(무채색), T(음영재질), V(음영차원) Y(음영확산) FD(형태차원), 2(쌍과 반사), Z(조직화정도) FQ(형태질), a,p(능동성과 수동성)

반응결정인 분류방식: 형태(F), 움직임(F,FM,m), 색채(C,CF,FC,Cn단어순서중요), 무채색(C’,C’F,FC’), 음영-재질(T,FT)), 음영-차원(V,VF,FV)), 음영-확산(Y,YF,FY), 형태차원(FD), 쌍과반사(2,rF,Fr)

내용 : H(사람) , Hd(사람부분), A(동물), Ad(동물부분), An(해부), Xy(엑스레이), Fd(음식)

평범반응 : 윤곽이 뚜렷하거나 쉽게 연상시키는 그림에서만 나타남, 성차없음,13개로 확정되어있음 많을수록 보수적

특수점수 : DV(일탈된 언어) DR(일탈된 반응), INCOM(비일치된 조합) FABCOM(비현실적 조합), CONTAM(혼성),

ALOG(부적절한 논리) PSV(보속성), CONFAB(작화), AG(공격적 움직임), COP(협조적 움직임), MOR(음울한 내용), AB(공격적 움직임), PER(개인적 반응) CP(색채투사)

비율,백분율,유도공식 L(람다) EB(경험균형) EA(경험실제) EBper(경험확산) eb(경험기반) es(경험자극) D(차이점수) Adj es(적응된 경험기반), Adj D(적응된 차이점수)

특수지표: SCZI(정신분열지수), DEPI(우울지수), CDI(대응결합지수), S-CON(자살 성향), HVI(과잉경계지수) OBS(강박유형지수)

 

영역

: 발달질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한 것으로 인지과정에서의 정교성 차이로 구분한다

+(통합반응):그림의 전체나 부분이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남

+/v(통합/모호반응):연관지각이 모호한 경우

o(평범반응):한 영역이 단일사물을 가르키는데 사용, 일정한 형태일 경우

v(모호반응):특정한 형태를 지니고 있지 않고 사물묘사도 X

 

발달질 점수부과 조건

: 전체위치반응 W의 발달질수준이 +,+/v,o,에 해당할 때 2개이상의 근접한 부분이 서로 의미있는 관계로 지각될 때

서로 근접하지 않는 부분들이 의미있는 관계를 이룰 때,  공백반응이 다른 부분반응과 의미있게 통합될 때

+ (우수하고 정교한) O (보통)
U (드문) -  (왜곡된)

형태질의 평가기준

내용

내용평가시 한 그림에 대해서 2개이상의 내용이 동시에 나타나면 자연반응에 모두 포함하여 하나만 채점한다

H(사람) Hd(사람부분) A(동물) Ad(동물부분) An(해부Xy(엑스레이) Fd(음식) Bt(식물) Cg(의복) CI(구름), 등등

특수점수

:자폐나 치매일 때 점수가 높다. 비논리적이고 부적절한 언어를 구사하는 정도를 판단하기 위함.

채점 공식

Zd=Zsum-Zest/EB=SumM/Sum Weigted

EA=SumM+Sum Weighted C

Cont/R=H와Hd로 각각 한묶음으로 묵어서 총 합이 10

 

\\사례해석

R반응

: 일반수준은 17~27, 일반인 평균은 22.67±4.23

Zf반응

: 일반성인은 11.81±2.59

P반응

:6.89±1.39 2~3개일 경우 보수성을 거절하는 사람

ZSum/Zest, Zd=ZSum-Zest

Zd점수가 +방향으로 너무크면 반응중 인지적 조직화를 많이 했다는 뜻, -방향으로 너무 적으면 자신의 인지능력을 넘어서서 통합시키려는 노력을 하는 사람

EB,EA,eb,es,

EB의 비율은 M 반응의 합/가중치가 적용된 유채색 반응

M반응은 높을수록 내향적, 분모가 높을수록 외향적

EB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는 규명되어있지 않다.

EA는 조직화된 자원을 보여주는 것.

eb는 경험기반, 기본적 욕구에 따라 반응하는 성향

좌측값과 우측값이 적다면 심리적불편함을 많이 느끼지 않고 욕구를 잘 조절하는 사람

es는 경험적 자극, 비통합성 정도와 무기력 정도를 알아봄

es<EA로 나타나면 잠재력을 잘 조직화 하는 사람

BLends/R

FM,FT,FD와 m,FY는 다소 비일상적인 반응이므로 해석과정을 염두해야 한다. 일반적으로0.23±0.09

a/p,

사고의 융통성. 가 높은 경우 상담자가 지시해주기를 원하고 무기력하고 침묵을 자주 보인다.

FC(형태+색채)/CF(색채+형태)+C

CF혹은C반응이 없다면 지나치게 위축된 사람

많다면 자신의 감정을 밖으로 표출하는 사람이고 통제가 잘 안되고 현실적 반응을 잘 못한다. 형태반응이 우세할수록 분자수치가 커진다

W/M

지적기능과 연관있음 W가 모든 그림요소를 활용하려고 노력한 지표임으로 야망의 지표라고 한다.

W/M3/1보다 크면 자신의 능력을 초과하는 야망을 갖음

W/D비교적 쉬운 D반응과 많은 에너지를 요구하는W비교

D반응이 많아서 1/3이 되면 애매한 상황에서 쉬운지각방식을 택하는 사람 W반응이 많으면 모호한 자극을 조직화해보려고 과한 노력을 하는 사람

L

람다지표는 순수F반응비율로 계산. L>0.99가 되면 보수적이어서 정서표현을 거의 하지 않고 내면안정을 찾지못하고 상대방에게 관여하지 않으려는 성향이 강해진다.

L<0.32가 되면 인지적 기능을 방해할 정도로 정동적이어서 외부자극에 과잉관여하려고 한다.

F+%,X+%

순수F반응에 대한 형태질의 반응

A%

A+Ad/R 30%이하로 나오고 내용점수빈도가 높지 않다면 지적노력을 강조하는 사람. 50%이상이면 지적능력이 낮아서 인지적 한계가 있거나 안전을 위한 방어에 관심이 많은사람

Afr

정동비율은 유채색에 영향받는 정도를 의미하고 외부환경에 영향받는 정도를 의미한다. 1표준편차 이하일 경우 정서적 자극에 대한 철회를 의미하고 1표준편차 이상일 경우 정서자극에 몰두되는 형이다

3r(2)/R

자기중심성 지수 혹은 자아존중감을 보는 지표.

0.30보다 낮으면 자기평가를 낮게하는것이고 타인과 주변가치에 지나친 관심을 갖는다. 0.50이상이면 자신에 대한 가치를 지나치게 높게 하고 부통 주위사람들을 희생시키고 세상가치를 무시한다.

Cont/R

4개이하일 경우 생각의 범위가 좁고 선입견이 있는 사람

12개 이상이면 개인감정을 묻고 지적으로 살아가는 사람

H+Hd/A+Ad

사람에 대한 관심정도 0.25이하일 경우 개인의 사고와 행동시 타인을 무시하는 성향

H+A/Hd+Ad

인지적 조작의 좁은 범위. 평균4 6이상일 경우 세밀한 것에 별 관심없는 형 2이하일 경우 세부적인것에 지나친 관심을 기울이고 지나치게 의심하는 경우

XRT’s

색채/무색채 시간비교. 색채카드에 대한 반응시간이 무채색 카드보다 모두 길면 정서적 반응에 대해 민감한 통제를 하려는 성향이고 자기 스스로 주위환경에 밀접하게 되지 않으려고 한다.

 

해석과정 : 위치에관해

위치반응에 대한 심리적 해석은 일종의 은유적인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W반응

주변환경을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정도를 보여준다.

높은W=주변환경을 통합하고 조직하는 능력

낮은W=우울과 불안

D반응

비정신병 성인집단은62%

높은D=안전하고 명백한것에 초점을 맞춰 잠재력을 손해보

는 유형의 사람

낮은D=스트레스지수 높음.D가 적은 것은 부적절한 지각

습관때문, 대뇌손상의심가능

Dd반응

주변환경에서 명확한 요소나 전체상황을 고려하는 지각보다 세부적인것에 초점을 둠으로써 환경으로부터 철회하는 경향

높은Dd=정신분열환자는 지각범위를 좁혀 내부세계와 일치

충동적인사람은 불안을 낮추기위해 구체적상황초점

S반응

많을수록 부정적인 관념과 연관이 높고 분노조절이 힘들고 반항적 행동이 많다. 적절한 반응수는 적개심과 무관하지만 적응력을가진 반항성향.

DQ+and DQv

DQ점수는 정보를 통합하고 분석하는 상대적 능력과 연관

DQ+가 9개이상이면 지능수준이 높고 생각이 많고 세밀한 사람. DQv가3개 이상일 경우 미성숙하고 덜세분화된 사람

해석과정 : 반응결정인에 관해

F반응

입원정신분열증환자는 FU와F-반응비율이 많다.

순수F반응이 많은 것은 갈등과 연관된 정서를 완충시키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듯한다.

높은순수F= 매우 방어적이고 절제적이거나 정서를 잘 통제

낮은순수F= 지루함을 느껴 개인의 정서반응을 걸러낸다.

M반응

외부와 연관된 내부환상을 반영한 것. 자아기능,계획능력,충동통제,좌절에 대한 인내력 지표다

높은M= 창의성도 높고 충동도 잘 참는다. M-는 사회성부족, 대인관계를 잘못 형성하거나 정신병을 보임

낮은M= 우울소인,높은 충동성, 변화수용 어려움 치료예후도 나쁨

FM반응

동물움직임은 자아통제가 잘 안되는 정서적 충동성이해지표

높은FM=개인의 욖구와 충동에 지배받는다. 만족지연 힘듬

장기적 계획세우기 어려움. 방어적이고 불안을 낮추기위해

이지화 합리화 퇴행 대치 사용

낮은FM= 개인의 감정을 거의 드러내지 않고 기본 욕구를

부정하는 사람에게 많이 보임. 에너지수준도 낮다

m반응

FM반응과 유사하게 자신의 통제범위를 벗어난 충동 혹은 생활사건을 경험하는 정도를 의미

높은m=갈등과 긴장의 경고지표 위협적인 사람이 주변에 많거나 그들과 협상을 잘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C,CF,FC,Cn반응

개인의 정서를 다루는 성향을 알아봄. 색채가 많으면 정서통제가 힘들고 비조직화되어있다 FC반응이 우세하면 만족지연이나 통재와 조직화가 잘되는 편이다.

CF와C반응이 많으면 만족지연이 어렵다. 색채우세반응과 충동성간의 정적상관이 있다.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증 체크리스트 (비 전문가용)  (0) 2019.06.10
TAT (주제통각검사)  (0) 2019.06.02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0) 2019.05.21
BGT (벤더 게슈탈트 검사)  (0) 2019.05.21
시지각 발달검사 (K-DTVP)  (0) 2019.05.21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적응, 정서,행동문제를 제3자, 즉 부모님이나 교사가 관찰하면서 평가하기 위한 도구

검사의 구성

1) 사회능력 척도

1. 사회성 척도 : 사회적 관계평가

2. 학업수행 척도 : 학업수행의 정도를 평가

3. 총사회능력 척도 : 사회성 척도와 학업수행 척도의 합

2) 문제행동증후군 척도

1. 위축 척도 : 사회적 위축,소극적 태도 평가

2. 신체증상 척도 : 의학적 증거가 없는 신체증상 평가

3. 우울/불안 척도 : 정서적 우울과 불안 평가

4. 사회적 미성숙 척도 : 발달상의 문제와 사회적 미성숙 측정

5. 사고의 문제 척도 : 비현실적이고 기이한 사고내용 및 행동평가

6. 주의집중문제 척도 : 주의집중력문제 및 행동평가

7. 비행 척도 :비행능력 평가

8. 공격성 척도 : 공격성,싸움,반항행동 측정

9. 성문제 척도 : 성과 관련된 문제를 측정하는 특수척도

10. 정서불안정 척도 :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행동을 측정

11. 내재화 문제 척도 : 위축+신체적증항+우울/불안

12. 외현화 문제 척도 : 비행+공격성

13. 총 문제행동 척도 : 문항1~112까지의 합

 

검사의 실시와 채점

1. 검사 실시

: 아동용(CBCL)은 부모나 친척 및 보호자가 작성 (아동을 잘 아는 주 양육자)

청소년용은 청소년이 직접 작성

2. 채점 및 프로파일 작성

: 빠트린 문항,이중응답 확인

검사결과의 해석

사회능력 척도 점수의 범위=20T~55T

문제행동증후군 척도의 범위 = 50T~100T

* 아동보다 어린 유아는 K-ECI(유아정서행동검사) 로 검사가능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T (주제통각검사)  (0) 2019.06.02
로르샤하 (로르샤) 검사  (1) 2019.06.02
BGT (벤더 게슈탈트 검사)  (0) 2019.05.21
시지각 발달검사 (K-DTVP)  (0) 2019.05.21
레이븐 지능검사  (0) 2019.05.21

9개의 도형으로 구성되었으며 원래 목적은 대뇌손상장애인과 비손상 장애인을 구분하고 정서장애인을 변별하기 위함이었음.

행동상의 미성숙을 검사하는 방법중에 가장 신뢰로운 검사

검사 자체가 용이하고, 실시와 채점 및 해석이 다른 투사법보다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투사검사임.

특징

로르샤, TAT와는 달리 비언어적 검사이기 때문에 문화적 영향을 덜 받는다.

지각-운동 발달과 능력, 뇌손상과 기질적 언어장애, 정신분열증, 우울증, 정신신경증, 정신지체, 발달적 학습문제 및 학습장애를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9가지 도형을 차례로 보여주고, 따라그리는것을 관찰함.

검사의 유용성

언어적 방어가 심한 환자에게 유용함 : BGT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정서나 공상적 세계를 표현한다.

문화나 언어적 배경을 뛰어넘는다 : 언어적 능력이 제한된 사람이나 언어표현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는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음.

뇌손상여부가 의심되는 사람에게 사용가능 : 신경학적인 진단 평가에 있어 손상의 정도가 적어 간과될 수 있는 환자들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줌.

뇌손상 치료 도중 치료경과 평가에도 유용하게 사용됨.

정신지체를 좀더 정확히 진단하는데 도움이 됨 : 지능검사와 함께 실시하여 진단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음.

채점과정

:각 도형에 대한 오류수를 평가한다 (형태왜곡,고집,통합,회전)

주의점

:오류기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인데, 두사람이 평가한 다음에 평정자간에 일치도를 함께 제시하여야 객관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1)정서성 지표

오류 채점 후 판단하는 첫 번째 지표,

정서성 지표의 정확성이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다른 성격검사 및 가족들의 행동관찰내용을 고려해서 종합적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1. 도형배치 혼란 : 무계획성과 관련, 혹은 정서적 퇴행

2.1과2에서 파선 : 빈약한 운동협응능력과 정서적 불안정

3. 2에서 - : 성인은 심각한 정서장애, 아동은 충동성 흥미,집중결여

4. 1,2혹은3의 크기검증 : 욕구좌절에 대한 내인성이 약하고 폭발성이 강한것과 관련

5. 과대/과소묘사 : 아동의 행위표출/불안,퇴행행동,위축등

6. 약한 선 : 소심함,수줍음,위축과 관련.

7. 가중묘사, 강한선 : 충동성,외현적 공격성,행위표출

8. 반복시행 : 충동성과 불안에 관련

9. 확산 : 행위표출행동과 충동성과 관련 신경장애적 정서문제아동에게 많이 나타남

10.축소 : 소심함과 억압에 관련 위축된 경향.

조직에 관련된 요인

배열순서 : 조직적 및 계획적 태도와 기능을 반영

도형 A의 위치 : 검사상황과 생활공간에 대한 개인의 방향

공간사용 : 정서적 부적응,적대적,과장적/수동적,퇴영적행동

중첩 : 현재 자아강도의 지표

용지회전 : 잠재적/외현적 소극적 저항성질

형태변화에 관련된 요인

폐쇄곤란 : 대인관계불안,적절한 대인관계유지 곤란

교차곤란 : 심리적 차단

곡선곤란 : 정서적 혼란, 충동성

각의 변화 : 정서적통제 및 충동성 통제문제와 관련

형태 왜곡과 관련된 요인

지각적회전 : 자아기능수행에 심한 장애.반항적 경향성

퇴영 : 외상에대한 비교적 심하고 만성적인 방어상태

단순화 : 충동통제의 곤란

단편화 : 지각-운동기능수행에 심한 장애,추상/통합능력 저하

중복곤란 : 기질적 뇌장애 의심

정교화/조잡 : 충동통제의 문제,강한 외현적 불안

고집화 : 강력한 기질적 깅후, 뇌손상의 지표

도형의 재묘사 : 적절한 사전계획력 부족,지나친 자기비판적태도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T (주제통각검사)  (0) 2019.06.02
로르샤하 (로르샤) 검사  (1) 2019.06.02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0) 2019.05.21
시지각 발달검사 (K-DTVP)  (0) 2019.05.21
레이븐 지능검사  (0) 2019.05.21

1997년 1판 출간

지각발달을 알아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 (지각운동 발달은 학업기술발달의 전제조건으로 볼 수 있음)

지각운동검사를 실시해야 하는 이유

1. 예방적 차원에서 초기에 학습곤란 아동을 예측할수 있음

2. 학습에 어려움이있다고 밝혀진 아동에 대해 지각-운동측면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가능

3. 지각-운동 검사는 대뇌장애를 진단하는데 활용

4. 아동의 시지각운동에 특별한 문제가있는지, 문제가 있다면 정도가 어떠한지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가능

5. 심각한 어려움을 갖고있는 아동들을 찾아내어 타 전문기관에 의뢰하고자할 때

6. 시지각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할 때

7. 시지각과 관련된 연구에서 연구도구로 사용하고자 할때

하위8개의 검사

눈-손 협응, 공간위치, 따라그리기, 도형-배경, 공간관계, 시각통합, 시각-운동속도, 형태 향상성

검사의 의미

: 시지각 발달검사는 읽기능력을 예언한다고 볼 수 없으며, 시지각 기능의 발달이 느리거나 시지각에 장애를 갖고있는 아동이 있다면 이를 조기에 발견하는것에 큰 의미를 둔다.

 

검사할 때 주의해야될 사항들

1. 명백한 운동장애를 지닌 아동(뇌성마비)들에게 실시할 경우, 운동-통합 시지각 하위검사를 실시할것인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만약 아동이 심한 불안이나 좌절감을 갖으면 실시 어려움*

2. 과잉행동,정서장애,불안아동을 검사할때는 특별한 주의를 요구하되 표준화 검사실시규칙을 따르고 채점기준을 바꾸면 안된다.

많은 격려를 해줄수는 있다.

3. 농아나 난청 아동에게 실시할수있으나 수화나 제스처가 필요하고 부가적인 예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T (주제통각검사)  (0) 2019.06.02
로르샤하 (로르샤) 검사  (1) 2019.06.02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0) 2019.05.21
BGT (벤더 게슈탈트 검사)  (0) 2019.05.21
레이븐 지능검사  (0) 2019.05.21

1938년 영국에서 출간된 검사로, 그림의 형태가 변화되는 것을 추론해 낼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비언어성검사, 관찰력과 명료한 사고를 재는 검사

레이븐 지능검사의 장점

1. 시각장애인 이외의 모든 장애인에게 적용할 수 있다.

2. 문화적, 부모의 사회경제적 차이에 영향을 받지않고 개인의 잠재능력을 알아볼 수 있다.

3. 언어능력이나 언어적 설명이 필요하지 않고 최소한의 운동기능만 요구되는 범문화적인 검사이다.

4. 연령별 수행기준이 대별되고, 시간제한이 없고, 짧은시간내에 마칠 수 있다.

5. 대뇌 손상의 여부를 변별하는 검사로도 사용될 수 있다.

6. 레이븐 지능지수와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밝혔다(다비드)

레이븐의 역사

1938년 표준 누진행렬지능검사(spm)출판 - 1947년 cpm출판 (CPM은 아동,노인,장애인을 검사할수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레이븐 검사의 목적은 지적 발달의 잠재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CPM을 해결하기위해 필요한 5개의 사고능력

동일성 : 동일성과 유사성정도 구분

방향성 : 제시된 지각 장을 기준으로 방향구분

추리력 : 변화를 비교하여 유추

변별력 : 지각된 전체를 세부요소로 나눔

조직력 : 두 개이상의 분리된 그림을 전체로 구성

*CPM은 개인의 현재 관찰력과 지적 발달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이다.

레이븐 지능검사가 평가하는 지능요소

추론정신활동 : 혼란스러운 가운데서 의미를 추출하고 새로운 통찰을 개발하고 현재 제시된 정보 수준이상을 파악하고 상호 관련된 변인들 간에 비언어적인 구성을 형성하는 능력

재생 정신활동 : 문명의 산물인 언어화된 외현적 지식을 형성하고 회상하고 숙달하고 재생할 수 있게 하는 것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T (주제통각검사)  (0) 2019.06.02
로르샤하 (로르샤) 검사  (1) 2019.06.02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0) 2019.05.21
BGT (벤더 게슈탈트 검사)  (0) 2019.05.21
시지각 발달검사 (K-DTVP)  (0) 2019.05.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