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의 그림을 보여주고 그림어떻게 보이는지를 말하게 하는 검사
검사목적
내담자의 성격구조를 평가하기 위함.
영역
내담자가 초점을 둔 그림의 영역
반응결정인
반응을 만드는 과정에 활용된 그림의 속성
내용
반응의 일반적인 유목
1차 검사(자유연상 단계): 그림의 연관반응포함 - "어떤생각이 나니"
2차 검사(질문단계): 영역, 내용, 반응결정인에 초점 - "어디가 그렇게 보였니?"
채점 영역과 기호
영역(표기,의미) : W(전체), D(평범한 부분), Dd(비평범한 부분), S(공간), DQ(발달질)
사고영역 : M-, M, W, Sum6, FQ가 없는M, a:p, : ,
반응결정인: F(형태) M(사람움직임) FM(동물움직임) ,m(무생물) C(유채색) C’(무채색), T(음영재질), V(음영차원) Y(음영확산) FD(형태차원), 2(쌍과 반사), Z(조직화정도) FQ(형태질), a,p(능동성과 수동성)
반응결정인 분류방식: 형태(F), 움직임(F,FM,m), 색채(C,CF,FC,Cn단어순서중요), 무채색(C’,C’F,FC’), 음영-재질(T,FT)), 음영-차원(V,VF,FV)), 음영-확산(Y,YF,FY), 형태차원(FD), 쌍과반사(2,rF,Fr)
내용 : H(사람) , Hd(사람부분), A(동물), Ad(동물부분), An(해부), Xy(엑스레이), Fd(음식)
평범반응 : 윤곽이 뚜렷하거나 쉽게 연상시키는 그림에서만 나타남, 성차없음,13개로 확정되어있음 많을수록 보수적
특수점수 : DV(일탈된 언어) DR(일탈된 반응), INCOM(비일치된 조합) FABCOM(비현실적 조합), CONTAM(혼성),
ALOG(부적절한 논리) PSV(보속성), CONFAB(작화), AG(공격적 움직임), COP(협조적 움직임), MOR(음울한 내용), AB(공격적 움직임), PER(개인적 반응) CP(색채투사)
비율,백분율,유도공식 : L(람다) EB(경험균형) EA(경험실제) EBper(경험확산) eb(경험기반) es(경험자극) D(차이점수) Adj es(적응된 경험기반), Adj D(적응된 차이점수)
특수지표: SCZI(정신분열지수), DEPI(우울지수), CDI(대응결합지수), S-CON(자살 성향), HVI(과잉경계지수) OBS(강박유형지수)
영역
: 발달질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한 것으로 인지과정에서의 정교성 차이로 구분한다
+(통합반응):그림의 전체나 부분이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남
+/v(통합/모호반응):연관지각이 모호한 경우
o(평범반응):한 영역이 단일사물을 가르키는데 사용, 일정한 형태일 경우
v(모호반응):특정한 형태를 지니고 있지 않고 사물묘사도 X
발달질 점수부과 조건
: 전체위치반응 W의 발달질수준이 +,+/v,o,에 해당할 때, 2개이상의 근접한 부분이 서로 의미있는 관계로 지각될 때
서로 근접하지 않는 부분들이 의미있는 관계를 이룰 때, 공백반응이 다른 부분반응과 의미있게 통합될 때
+ (우수하고 정교한) |
O (보통) |
U (드문) |
- (왜곡된) |
형태질의 평가기준
내용
내용평가시 한 그림에 대해서 2개이상의 내용이 동시에 나타나면 자연반응에 모두 포함하여 하나만 채점한다
H(사람) Hd(사람부분) A(동물) Ad(동물부분) An(해부) Xy(엑스레이) Fd(음식) Bt(식물) Cg(의복) CI(구름), 등등
특수점수
:자폐나 치매일 때 점수가 높다. 비논리적이고 부적절한 언어를 구사하는 정도를 판단하기 위함.
채점 공식
Zd=Zsum-Zest/EB=SumM/Sum Weigted
EA=SumM+Sum Weighted C
Cont/R=H와Hd로 각각 한묶음으로 묵어서 총 합이 10
\\사례해석
R반응
: 일반수준은 17~27개, 일반인 평균은 22.67±4.23
Zf반응
: 일반성인은 11.81±2.59
P반응
:6.89±1.39 2~3개일 경우 보수성을 거절하는 사람
ZSum/Zest, Zd=ZSum-Zest
Zd점수가 +방향으로 너무크면 반응중 인지적 조직화를 많이 했다는 뜻, -방향으로 너무 적으면 자신의 인지능력을 넘어서서 통합시키려는 노력을 하는 사람
EB,EA,eb,es,
EB의 비율은 M 반응의 합/가중치가 적용된 유채색 반응
M반응은 높을수록 내향적, 분모가 높을수록 외향적
EB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는 규명되어있지 않다.
EA는 조직화된 자원을 보여주는 것.
eb는 경험기반, 기본적 욕구에 따라 반응하는 성향
좌측값과 우측값이 적다면 심리적불편함을 많이 느끼지 않고 욕구를 잘 조절하는 사람
es는 경험적 자극, 비통합성 정도와 무기력 정도를 알아봄
es<EA로 나타나면 잠재력을 잘 조직화 하는 사람
BLends/R
FM,FT,FD와 m,FY는 다소 비일상적인 반응이므로 해석과정을 염두해야 한다. 일반적으로0.23±0.09
a/p,
사고의 융통성. 가 높은 경우 상담자가 지시해주기를 원하고 무기력하고 침묵을 자주 보인다.
FC(형태+색채)/CF(색채+형태)+C
CF혹은C반응이 없다면 지나치게 위축된 사람
많다면 자신의 감정을 밖으로 표출하는 사람이고 통제가 잘 안되고 현실적 반응을 잘 못한다. 형태반응이 우세할수록 분자수치가 커진다
W/M
지적기능과 연관있음 W가 모든 그림요소를 활용하려고 노력한 지표임으로 야망의 지표라고 한다.
W/M이 3/1보다 크면 자신의 능력을 초과하는 야망을 갖음
W/D비교적 쉬운 D반응과 많은 에너지를 요구하는W비교
D반응이 많아서 1/3이 되면 애매한 상황에서 쉬운지각방식을 택하는 사람 W반응이 많으면 모호한 자극을 조직화해보려고 과한 노력을 하는 사람
L
람다지표는 순수F반응비율로 계산. L>0.99가 되면 보수적이어서 정서표현을 거의 하지 않고 내면안정을 찾지못하고 상대방에게 관여하지 않으려는 성향이 강해진다.
L<0.32가 되면 인지적 기능을 방해할 정도로 정동적이어서 외부자극에 과잉관여하려고 한다.
F+%,X+%
순수F반응에 대한 형태질의 반응
A%
A+Ad/R 30%이하로 나오고 내용점수빈도가 높지 않다면 지적노력을 강조하는 사람. 50%이상이면 지적능력이 낮아서 인지적 한계가 있거나 안전을 위한 방어에 관심이 많은사람
Afr
정동비율은 유채색에 영향받는 정도를 의미하고 외부환경에 영향받는 정도를 의미한다. 1표준편차 이하일 경우 정서적 자극에 대한 철회를 의미하고 1표준편차 이상일 경우 정서자극에 몰두되는 형이다
3r(2)/R
자기중심성 지수 혹은 자아존중감을 보는 지표.
0.30보다 낮으면 자기평가를 낮게하는것이고 타인과 주변가치에 지나친 관심을 갖는다. 0.50이상이면 자신에 대한 가치를 지나치게 높게 하고 부통 주위사람들을 희생시키고 세상가치를 무시한다.
Cont/R
4개이하일 경우 생각의 범위가 좁고 선입견이 있는 사람
12개 이상이면 개인감정을 묻고 지적으로 살아가는 사람
H+Hd/A+Ad
사람에 대한 관심정도 0.25이하일 경우 개인의 사고와 행동시 타인을 무시하는 성향
H+A/Hd+Ad
인지적 조작의 좁은 범위. 평균4 6이상일 경우 세밀한 것에 별 관심없는 형 2이하일 경우 세부적인것에 지나친 관심을 기울이고 지나치게 의심하는 경우
XRT’s
색채/무색채 시간비교. 색채카드에 대한 반응시간이 무채색 카드보다 모두 길면 정서적 반응에 대해 민감한 통제를 하려는 성향이고 자기 스스로 주위환경에 밀접하게 되지 않으려고 한다.
해석과정 : 위치에관해
위치반응에 대한 심리적 해석은 일종의 은유적인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W반응
주변환경을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정도를 보여준다.
높은W=주변환경을 통합하고 조직하는 능력
낮은W=우울과 불안
D반응
비정신병 성인집단은62%
높은D=안전하고 명백한것에 초점을 맞춰 잠재력을 손해보
는 유형의 사람
낮은D=스트레스지수 높음.D가 적은 것은 부적절한 지각
습관때문, 대뇌손상의심가능
Dd반응
주변환경에서 명확한 요소나 전체상황을 고려하는 지각보다 세부적인것에 초점을 둠으로써 환경으로부터 철회하는 경향
높은Dd=정신분열환자는 지각범위를 좁혀 내부세계와 일치
충동적인사람은 불안을 낮추기위해 구체적상황초점
S반응
많을수록 부정적인 관념과 연관이 높고 분노조절이 힘들고 반항적 행동이 많다. 적절한 반응수는 적개심과 무관하지만 적응력을가진 반항성향.
DQ+and DQv
DQ점수는 정보를 통합하고 분석하는 상대적 능력과 연관
DQ+가 9개이상이면 지능수준이 높고 생각이 많고 세밀한 사람. DQv가3개 이상일 경우 미성숙하고 덜세분화된 사람
해석과정 : 반응결정인에 관해
F반응
입원정신분열증환자는 FU와F-반응비율이 많다.
순수F반응이 많은 것은 갈등과 연관된 정서를 완충시키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듯한다.
높은순수F= 매우 방어적이고 절제적이거나 정서를 잘 통제
낮은순수F= 지루함을 느껴 개인의 정서반응을 걸러낸다.
M반응
외부와 연관된 내부환상을 반영한 것. 자아기능,계획능력,충동통제,좌절에 대한 인내력 지표다
높은M= 창의성도 높고 충동도 잘 참는다. M-는 사회성부족, 대인관계를 잘못 형성하거나 정신병을 보임
낮은M= 우울소인,높은 충동성, 변화수용 어려움 치료예후도 나쁨
FM반응
동물움직임은 자아통제가 잘 안되는 정서적 충동성이해지표
높은FM=개인의 욖구와 충동에 지배받는다. 만족지연 힘듬
장기적 계획세우기 어려움. 방어적이고 불안을 낮추기위해
이지화 합리화 퇴행 대치 사용
낮은FM= 개인의 감정을 거의 드러내지 않고 기본 욕구를
부정하는 사람에게 많이 보임. 에너지수준도 낮다
m반응
FM반응과 유사하게 자신의 통제범위를 벗어난 충동 혹은 생활사건을 경험하는 정도를 의미
높은m=갈등과 긴장의 경고지표 위협적인 사람이 주변에 많거나 그들과 협상을 잘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C,CF,FC,Cn반응
개인의 정서를 다루는 성향을 알아봄. 색채가 많으면 정서통제가 힘들고 비조직화되어있다 FC반응이 우세하면 만족지연이나 통재와 조직화가 잘되는 편이다.
CF와C반응이 많으면 만족지연이 어렵다. 색채우세반응과 충동성간의 정적상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