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단과 평가에 다한 인간중심 접근
1. 진단은 인간중심 치료와 관련이 없고, 불필요하며, 내담자와의 관계에 해로울 수 도 있다.
2. 진단과 평가는 심리치료분야에 있어 현실이고, 인간중심치료자도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3. 평가가 내담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면, 인간중심치료에 있어 유익일 수 있다.
놀이치료 시작전 평가 과정
1. 내담자와 나는 접촉을 성립하고 있는가? (접촉 수준)
2. 내담자는 불일치상태에 있고, 취약하거나 불안한가? (불일치성 정도)
3. 치료사와 내담자의 관계가 일치하는가? (치료자의 일치성)
4. 내담자에 대한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할 수 있나? ( 치료자의 공감경험과 그에 대한 소통)
5. 내담자의 내적참조틀에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할 수 있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에 대한 치료자의 경험과 소통)
6. 내담자는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과 공감을 최소한이라도 인식할 수 있나? ( 내담자가 치료자의 태도적 질을 받을수 있는 능력)
놀이치료가 진행됨에 따른 아동의 변화 (Rogers의 7가지 성격변화과정)
1단계 : 아동은 방어적이고 변화에 저항적이다.
2단계 : 다소 경직되나 탐색놀이를 할수 있으며, 상냥하게 대화한다.
3단계 : 의미있는 놀이가 시작된다. 하지만 아직 정서적인 거리감이 있다.
4단계 : 회기마다 몇분간 의미있는 놀이가 일관성있게 나온다.
5단계 : 정기적으로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고, 놀이가 자기주도적이고 자기향상적으로 진전한다.
6단계 : 일치성을 향해 나아가며, 요구가 줄고 자신에 대해 더 인내하는 모습을 보인다.
7단계 : 발달상의 제한은 있지만 타인에 대한 공감과 존중이 나타난다.
Guerney가 개발한 놀이치료 범주화 단계
1단계 - 워밍업
치료실과 치료자, 놀이치료의 구조에 점차 적응해간다. (신뢰와 라포형성)
2단계 - 공격적
주호소와 관련된 치료적 이슈를 느끼기에 안전함을 느낀다. 이 때 공격적 행동표현이 최고점에 달한다.
3단계 - 퇴행적
공격적 행동이 소멸하거나 감소되고,. 퇴행적 놀이행동을 보일 수 있다.
4단계 - 숙련
숙달행동이 나타나며 퇴행행동이 점차 사라진다. 정직하고 책임감 있는 놀이모습을 보인다.
* 모든 아동에게 단계가 획일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하자 (모든 놀이치료관계에 적용할 수 없다)
진보측정을 위한 범주 (Haworth)
1. 공격적 (공격적행을 보임 vs 전혀 보이지 않음)
2. 자기주도적 놀이 (자신감을 갖고 계획적인 놀이 vs 놀이하지 않거나 치료자에게 의존)
3. 에너지 ( 회기전체에서 높은 에너지 vs 놀이나 언어화에 에너지가 없음)
4. 지속적인 놀이행동 (놀이에 집중하고 놀이장면을 이어감 vs 쉽게 산만하고 놀이가 이어지지 않음)
5. 파괴적 행동 (치료실, 놀잇감, 치료자에게 파괴적 vs 건설적 놀이)
6. 헝클어 놓음 (지저분하게 놈 vs 정돈된 놀이)
7. 언어화 (빈번한 말 vs 말하지 않음)
8. 제한에 대한 반응 (제한을 따름 vs 모든 제한을 무시함)
9. 놀이에 치료자를 포함시킴 (포함시킴 vs 혼자 놈)
10. 언어화에 치료자를 포함시킴 (치료자와 언어로 상호작용함 vs 직접 말하지 않음)
11. 의미있는 놀이 (놀이에 집중,몰입, 일관된 주제를 표현 vs 놀이장면에 관심을 보이지 않음)
12. 감정 ( 전 회기동안 강한 감정표현 vs 관찰가능한 감정표현 없음)
13. 긍정적 감정 ( 웃기, 미소, 만족 등 vs 분노, 울기, 슬픔 등)
14. 연령에 적합한 놀이 (연령에 적합한 놀이를 함 vs 퇴행적이거나 연령보다 어린 놀이를 함)
15. 숙련 (유능감을 나타내는 놀이를 함 vs 숙련행동 보이지 않고 실패할 행동을 설정하기도 함)
16. 불만/좌절 (높은 수준의 좌절도 견딜수 있음. 실패에도 지속적인 시도 vs 작은 좌절과 실패를 견디지 못함)
17. 노력 (도전받을 때도 계속 시도함 vs 놀이가 어려워지면 바로 포기함)
종결
치료종결 결정시
1. 주호소 문제에 진보가 있나?
2. 기분이 더 좋아졌나?
3. 가정과 학교에서 잘 적응하는가?
4. 가족 배경에 대한 타당한 현실적 이해를 갖고 있나?
5. 다른곳으로 의뢰하는게 유익한가?
6. 놀이치료가 도움이 되지 않나?
7. 아동이나 양육자에 의해 거부되는가?
이상적인 종결시기
1. 회기안에서 표현하고, 건설적으로 놀이할 수 있을 때
2. 어른/또래/치료자와 따뜻한 관계를 유지할 때
3. 자아향상적 행동을 할 수 있을 때
'놀이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이치료의 주제 (0) | 2020.03.11 |
---|---|
놀이치료실 구성하기 (0) | 2019.06.24 |
놀이치료란 ? (0) | 2019.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