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자의 신념과 태도
1. 변화에 대한 확신을 가져라 : 변할지에 대한 의구심을 갖고 상담에 임한다면 그것은 상담자의 자기기만이다.
2. 윤리적 책임감을 인식하라 : 상담자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내담자를 위해 비밀유지를 지키는 것은 중요한 윤리적 책임감이다.
3. 자각을 확장하라 : 상담자는 끊임없이 자신의 이해를 위한 노력을 해야한다.
4. 본보기를 보여라 : 상담은 학습과 재학습을 위한 활동이라고도 한다. 내담자에게 하는 많은 말보다 행동이 내담자의 변화를 위해 훨씬 강력하다.
5. 내담자를 위해 함께함을 보여주라 : 내담자는 상담자가 자기를 어떻게 대하는가를 관찰하며 상담자에게 반응한다. 경청습관 필요
내담자의 이해와 문제파악
적극적 경청을 하라 : 상담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상담자의 경청이다.
내담자의 시간관리를 잘 살펴라 : 내담자의 시간사용방법을 확인하는 것은 그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부적응적인 사람 대부분은 시간을 부적절히 사용한다
내담자의 이해를 위해 반복이란 말을 명심하라 : 반복되는 행동이 습관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파악을 위해서 감정,행동,생각의 반복을 이해해야한다. 감정에는 감정불안이 있고 행동의 반복에는 자기파괴의 역기능적행동이다 생각은 비합리적 생각과 정서다
4. 경험을 통한 육감을 발달시켜라 : 구체적인 문제영역에서 내담자와의 많은 경험음 상담자의 육감을 발달시킨다(육감은 추측이 아니다)
5. 내담자의 가족에 대한 생각을 확인하라 : 개인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곳은 가정이기 때문이다.
6. 내담자의 언어에 함축된 의미를 파악하라 : 언어는 생각이다. 내담자가 사용하는 언어는 그가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을 함축하고 있다
7. 내담자의 심리평가를 정확히 하라 : 내담자의 심리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담자는 한 전략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
내담자의 조력활동
경험을 통해 느끼게 하라 : 내담자의 문제는 내담자가 직면함으로써만 해결될 수 있다. 내담자의 문제는 대부분 주입된 가치로 인한 경험의 결여와 관련
자신의 인간관과 성격에 부합한 상담이론을 개발하라 : 상담자로서 어떤 이론을 따르건 내담자에게 적용하는 방식은 독특하며 요즘은 절충한 입장을 한다, 주요상담이론을 섭렵하고 자신의 인간관과 성격에 대해 이해하고 부합한 상담이론을 개발하라
3. 상담면접기법을 숙달하라 : 상담은 과정을 강조하는 학문이다. 상담과정은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하는 반응기법에 따라 좌우된다
4. 상담기법 적용의 적절한 시점인가를 파악하라 : 상담자가 어떤 반응과 기법을 사용해 조력할것인가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5. 현재 진행되는 경험을 다루어라 : 대부분의 상담자는 지금-여기란 말을 강조한다. 즉 내담자에게 진행되는 경험을 강조하는데 이것은 모든 문제를 현실로 가져와 다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6. 대부분의 상당기법이 역설적임을 명심하라 : 상담의 궁극적 목적은 내담자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상담을 통한 내담자의 변화는 부정적 차원에서 긍정적 차원으로 변화하는 이차적인 변화다. 상담자의 의도와 다른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이 역설이다
7. 내담자를 끊임없이 격려하라 : 격려는 내담자에게 아무리 힘이 들더라도 용기를 잃지 않도록 북돋는 것이다.격려는 수행의 결과보다 인간에게 초점을 맞춤
8. 구체적인 상담목표를 설정하라 : 내담자가 상담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목표가 무엇인지 확인한후 단기목표와 장기목표를 설정한뒤 상담한다. 시간제한을 두어 상담하는 것이 동기유발을 촉진하여 상담목표를 달성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상담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개념화란? -2- (0) | 2019.06.06 |
---|---|
사례개념화란? -1- (0) | 2019.06.06 |
상담과정 모델과 상담자의 반응기술 (0) | 2019.05.21 |
상담의 정의 (0) | 2019.05.21 |
상담심리학에서의 정신분석 (0) | 2019.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