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가족화란 ? 

일종의 그림진단검사로서 가족 내의 역동성을 물고기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저항없이 표현하게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어항속 물이 2/3 이상, 물고기가 조화롭고, 동적이며, 공간이 여유롭고 내용물이 서로 조화를 이룰 때 안정적인 그림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실시 방법

1. 어항이 그려진 종이를 주고 어항을 꾸미도록 한다.

(물고기 가족을 그려보라고 하거나, 우리 가족을 물고기로 그려보라고 이야기 한다)

2. 질문을 통해 왜 그렇게 그렸는지에 대해 확인한다.

 

물고기 가족화를 해설 할 때 참고하면 좋은 내용 (가족 미술치료 책 발췌..)

 

물의 양

 물고기의 행동반경을 나타낸다.

1/2이하는 정서적 결핍상태라고 볼 수 있다.

물이차있는데도 물호스가 있다면 이것은 억압으로부터 분출하려는 욕구를 나타냄.(물이 밖으로 넘치는것도 동일한 의미)

 

그리는 순서

나와의 친밀도관심도 혹은 가족 내의 중요도,권위도로 해석

물고기의 꾸밈정도로 다시 재해석 할 수있다.

이 부분의 해석은 동적가족화 검사와 동일하다. 그리지 않은 가족은 피검사자와의 불편한 관계임을 나타냄.

동적 가족화 검사에 따르면 묘사의 순위는 가족 내의 위계 및 관심도를 알수있게 하는데 부모를 먼저 그린경우에는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순서이지만 아동이 자신을 먼저 그렸을 경우에는 가족내의 심리적 서열관계를 먼저 생각해보거나 지나치게 아동위주의 생활이 아닌지 생각해봐야한다.

혹은 자기애적 성향이 크거나 자기중심적 사고 주목받고싶은 마음의 표현일수도 있다.

 

물고기의 위치 및 거리

나를 중심으로 위에 위치한 것은 권위적이며 지배적인상징, 가족에서 비중이 높은 것으로 해석가능.

상위에 위치한 대상자가 가족내 리더역할을 하는사람.

수평적이거나 아래에 위치한 배열은 피검사자와 친절한 관계이나 극단적으로 하단에 위치하는경우는 그려진 대상자가 힘이없음을 상징한다.

마주보는 관계는 대립 혹은 사랑으로 해석된다.

자신을 중앙에 그리는 것은 자기중심적 혹은 관심을 받고싶어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물고기간의 거리는 심리적 거리감과 비례한다. 경우에따라서는 자신의 소망을의미할수도있다.

그려진 방향은 한방향으로 그려지거나 시선을 한곳에 두고모여있는 그림이 이상적이지만 방향이 각기달라 흩어진경우는 가족내 화목함이 상실되고 역동성이 부족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고기의 크기

물고기가 크면 자기중심적 혹은 자신감있음, 외향적임을 나타낼 수 있고,

지나치게 작은 경우 내향적 위축,소심함을 나타낸다.

물고기가 클수록 가족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자신의 물고기를 지나치게 작게 그리는 경우는 사랑받고싶음, 퇴행 ,의존적인 경우에도 나타난다.

어항에 비해 물고기의 크기가 지나치게 큰 경우는 피검사자가 충동적이거나 심리적으로 안정되어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물고기의 모양(표현)

세심한 것은 그려진 대상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많음을 의미하며 가족내 권위의 상징으로 해석할 수있다.

화려한 물고기표현은 실제로 대상자가 화려함을 의미한다.

지나치게 화려한 경우 보상심리일수도 있다.

입이 그려지지 않은 것은 실제로 말수가 없거나 말하고싶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지느러미가 강조된 것은 활동적이고 자발적인 사람에게 많이 등장한다.

꼼꼼한 비늘의 표현과 채색은 강박적 성향을 나타낸다.

 

불안요소

어항에 손잡이를 그리는 경우받침을 그리는 경우, 테이블을 그리는 경우는 불안심리와 외부로부터의 도움을 요청하는 안전에 대한 욕구로 해석된다.

 

장식표현

물고기만 그리는 경우는 인간관계의 관심도나 고민을 나타내며 주변장식에 치중하면 사회화에 대한 관심을 나타낸다. 물고기보다 장식을 먼저하는 경우는 가족에 대한 회피혹은 요점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학습적인 부분과 연관성이 많다.

물고기보다 장식을 먼저 그리는그리는 아동의 경우 학습에서 내용을 이해하지못하는 경우가 많다.

 

위의 내용도 내용이지만, 그림검사는 검사자의 판단에 따라 결과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

그린 그림만 보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 그림을 표현한 이유를 들으면서 해석해야 정확하다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심리 검사들  (0) 2019.06.23
유아 정서행동검사 4판 ( K-ECI )  (0) 2019.06.22
자폐증 체크리스트 (비 전문가용)  (0) 2019.06.10
TAT (주제통각검사)  (0) 2019.06.02
로르샤하 (로르샤) 검사  (1) 2019.06.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