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징이란 다양한 의미가 있으므로 그린 사람과의 상담을 통해 그 의미를 찾아내는것이 중요하다.

  또한 아동들의 검사에 나타나는 물체들은 풍부한 표현력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ex) 새, 천사, UFO)

 

4. 물체의 상징

- 파도 = 인간 내부의 생생한 요소를 표현한 것으로 감정, 무의식을 나타낸다

- 별    = 암흑세계에서 길을 안내하고 전진하려는 의지의 빛으로 지성, 정신, 의식등을 나타낸다.

- 달    = 본인의 관심이나 흥미의 방향성

- 바위,섬,절벽 = 장애를 나타내나 묘사방법에 의해서는 피난장소나 안전한 장소가 되기도 함. (해변이나 해안도 장애와 안전한 장소를 시사)

- 구름,천둥,벼락 = 스트레스, 피해

- 등대 = 인공적인 빛으로 길을 안내해주는것으로 방향성을 시사함.

5. 필적 분석

- 한줄긋기 필적

= 확고한 생각이 머릿속에 있고 그것을 연필로 형태화 하려는 사람의 그림에 사용됨. 자신의 충동을 통제하는 개인적인 여유를 의미. 집중해서 자기자신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려는 의지, 의지력이 강하고 자기통제를 할 수 있는 사람.

- 움직임이 있는 필적

= 인생에 있어서의 신뢰나 인생의 생체리듬을 나타냄. 이드(id)가 움직임이 있는 필적을 만들어냄.

   만약 파도를 한줄긋기로 그린다면 통제를 잃는것이 두려운것이라는것을 기억하기 때문에 생명력으로 지탱될 수 있다는것을 완전히 신뢰하지 않거나 반대로 통제를 잃게 되었을 때 기본적인 생명력에 완전히 의존해버리게 된다는 공포를 느끼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 안정적인 필적

=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를 명확하게 알고 있다는 것을 시사. 

   자신이 그린 별의 윤곽에도 나타나고 파도나 다른 물체에도 나타남.

- 불안정한 필적

= 자연스레 나아가지 않고 움직임이 끊어지기 쉽고 자극에 민감한 선의 경우는 자신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고 볼 수 있음

 

- 이어진 필적

= 뒤돌아보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서 곧장 전진하는것을 좋아하는 사람

- 분단된 필적

= 안정적이게 그리다 불안정하게 그리는 경우 무엇을 해왔는가를 재고하고 다시 그리기 시작하는 사람.

   불안정하지 않지만 똑같은 점에서 다시 그리는 경우는 뒤돌아보고 지금까지 해온 일에 대해 생각해보는데 필요한 시간을 두고자 하는 사람.

 

필적의 형태

연필각도 / 필압

약하다 (수동적, passive)

감정이 움직인다

강하다 (능동적, active)

dmlwlrk dnawlrdlaek

똑바로 섬세, 연약하다 날카롭다, 딱딱하다
비스듬히 부드럽다, 무르다 확고하다, 난잡하다

- 섬세한 필적 = 의지력이 약하고 수동적이며 감수성이 우위를 차지한다

- 부드러운 필적 = 감각적인 요소를 갖고 있다. 감각적이며 관능성이 우위를 차지함

- 날카로운 필적 = 힘이나 행동등의 성질이 우위에 있다. 자기자신을 통제하고 이끌어갈 수 있는 어느정도의 이성적인 능력이 있다.

- 확고한 필적 = 에너지가 넘치며 매우 자발적이며 본능적인 경향

 

필적에 나타난 장해 징후

- 연약한 필적 = 약하고 깨지기 쉽기때문에 상처받기 쉽고 파괴되기 일보직전이다. 필적수법은 불안정, 과도한 감수성, 지나치게 상처받기 쉬운 성질을 갖고있는 과민성을 시사

- 무른필적 = 외계로부터 금방 영향을 받든가 이미 받아버린 지나치게 감동적인 수동성 시사. 이성적인 통제를 상실한 불안정한 아이들에게 자주 나타남

- 딱딱한 필적 = 그린선이 가늘고 상당히 강한 힘이 들어있다. 의지력이 너무나도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냉정한 통제력이 팽팽하게 긴장되어 있다.

- 난잡한 필적 = 그린선이 두껍고 강한 힘이 들어있다. 지나친 난잡함이나 미숙한 조잡함을 나타냄. 방향을 잃어버린 충동성, 무제한의 본능. 독선적, 충동적, 돌발적, 제멋대로이기 때문에 통제되지 않은 행동을 나타냄

- 검게 고착된 필적 = 심리적 갈등, 물건이나 장소에 무의식적인 집착, 현재 진행중인 갈등.

- 잘게 끊어진 필적 = 신경질적인 자기제어, 완전히 조각난 필적, 자기성찰의 수단으로 이용. 분단된 필적이 더 과격해진 것이므로 지나치게 자기성찰을 한 결과 선을 연결해서 그을수가 없다. (신경질적인 자기제어)

 

표면이나 평면 다루기

- 음영그리기 = 정서적이고 관능적인 감수성의 표현. 사물의 표면을 부드러운 필적으로 그려넣는다면 음영을 그렸다고 볼 수 있음.

- 보풀을 일게 함 = 감정적으로 경험한 내용을 이성적으로 이해하려는 표현. 

                         날카롭고 확실한 필적인 한줄긋기식으로 줄무늬를 그린다면 보풀을 일게한 것으로 간주. 

- 윤곽을 그림 = 이성적인 통제표현. 날카로운 필적으로 그림으로써 강조함. 

                     별이 원래 갖은 특성을 그릴경우나 섬세한 파도를 보호하기 위해 수평선을 날카로운 연필로 그리려고 할 경우 나타남.

- 어둡게 함 = 강한 감정이나 정서의 표현이지만 특히 어린아이들에게도 색칠하는 대신 그리게 하는 경우도 있다.

- 거칠게 한다 = 접촉이 어렵다는 표현. 한줄긋기 식이지만 비교적 조화성이 없는 방식으로 그린경우를 말함. 

                     특히 나무검사의 줄기가 나타내는 대인접촉 문제를 의미.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과 파도 검사(SWT) -1  (0) 2019.10.20
신경심리 검사들  (0) 2019.06.23
유아 정서행동검사 4판 ( K-ECI )  (0) 2019.06.22
물고기 가족화  (0) 2019.06.19
자폐증 체크리스트 (비 전문가용)  (0) 2019.06.10

+ Recent posts